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8

김동인-배따라기 배따라기란 뱃사람들의 애환을 담은 평안도 지방에서 내려오는 민요를 말한다. 작자는 평양성에서의 봄 하늘을 보면 봄기운에 취해 감탄하다가 누군가가 기가 막히게 부르는 배따라기를 듣게 된다. 영유에서 들었던 잊히지 않는 영유 배따라기이다. 부르는 자가 누구인지 궁금하여 그 소리의 진원지를 찾아가 배따라기를 부르는 주인공을 만나게 된다. 배따라기의 주인공은 많은 고생을 하였으나 순진한 성격을 가진듯한 모습이었고, 작자는 그에 대한 이야기가 궁금하여 묻고, 그는 그의 사연을 이야기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배따라기 주인공의 사연 그의 고향은 영유에서 조금 떨어진 작은 어촌마을이다. 영유는 유명한 배따라기가 전해 내려오는 지역으로 위치는 정확하지 않으나, 황해안에서 가까운 마을 또는 도시로 추측된다. 그와 그의 .. 2023. 1. 24.
조세희-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이 작품은 우리나라가 본격적인 산업화 시대에 접어드는 1970년대에 아파트 재개발을 위해 철거되는 재개발 지역을 배경으로 한다. '난장이'는 급격하고 무리한 산업화 과정 속에서 삶의 터전에서 무기력하게 내몰리는 '사회적 약자'를 상징하고 있으며, 난장이의 어려운 삶이 본인의 의지와 선택에 의한 것이 아니라 조상으로부터 대를 이어 내려오는 것이고 이를 또다시 자식에게 대물림하게 되는 안타까운 현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등장인물의 성격 ● 아버지(난장이) : 사회적 약자로 상징되며, 근면하고 성실하지만 소극적아고 정신적으로는 나약함을 가짐 ● 어머니 : 평범하지만 자상하고 긍정적임 ● 영수 : 수재라 불릴 정도로 우수한 학생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가정형편으로 인해 학업은 포기하게 되는 인물로 부조리한 사회에.. 2023. 1. 12.
계용묵-백치 아다다 소설 주인공 '아다다'는 백치에 벙어리이며 본래 이름은 '확실'이다. '확실'이라는 뚜렷한 이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벙어리라 제대로 말을 잘 못하여 "아다아다 아다..."라고만 하여, 누구나 그녀를 '아다다'라고 부르게 되었다. 그의 부모도 그녀를 '아다다'라 부르며, 자신조차도 '아다다'라 부르면 대답을 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되었다. '아다다'의 아픔과 심성 아다다는 양반가문의 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백치에 벙어리라는 성치 않은 조건이기에 그녀의 아버지는 먹여 살릴만한 재물과 함께 아다다를 가난한 집안으로 시집을 보낸다. 몹시도 가난하던 시집에서는 재물과 함께 시집온 아다다 덕분에 먹고살만하게 되니 시부모와 남편 또한 아다다의 실수와 허물도 덮어주기도 하며 아끼고 사랑해 주었다. 그렇게 행복한 결혼생활을.. 2023. 1. 11.
나도향-벙어리삼룡이 지금은 비록 지저분한 빈민굴이 되었으나 십사오 년 전에는 나름 행세한다는 사람들이 모여 살던 연화봉이라는 마을에서 일어난 이야기이다. 이야기 속 사람들 ● 주인 (오생원) 중년의 늙은이로 그가 일어나는 때가 동네사람이 일어나는 때일 정도로 정확하고 부지런한 사람이다. 연화봉으로 이사 온 지는 얼마 되지 아니하였으나, 동네 사람들에게는 후한 인심을 주며 존경을 받는 인물이기도 하다. ● 하인 (삼룡이) 오생원이 데리고 있는 하인으로 땅딸보에 옴두꺼비와 같은 외모를 가진 벙어리이다. 부지런한 오생원이 데리고 왔으니 그 역시 부지런하고 진실하고 충성스럽다. 이러한 삼룡에게 집주인 또한 나름 배려해 준다. ● 어린 주인 (오생원의 아들) 나이 열일곱의 오생원 집안의 삼대독자 아들이다. 너무 오냐오냐 커서 버릇이.. 2023. 1. 10.